경제일반

프로그램 매매?

화난고양이 2013. 1. 13. 14:31

<출처:네이버지식iN>

프로그램 매매란 :
1976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처음 도입된 방식으로, 주식을 매매할때 인간의 감정이나 판단을 배제하고 미리 입력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수의 종목을 일시에, 또 대량으로 자동매매 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매매는 선물시장과 연계한 차익거래를 의미하며, 선물과 현물중 상대적으로 고평가 된 것을 팔고 동시에 가격이 낮은 쪽을 사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위험부담없이 차익을 실현할 수 있게 됩니다.(무위험 차익거래)

다시말해, 선물의 이론가격(코스피200 현물지수 + CD금리 - 배당수익률)과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현물가격이 비정상적인 차이가 날때, 이것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험부담 없이 시세차익을 얻고자 하는 매매방법입니다.

이처럼, 종합지수의 상승과 하락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종목들이 **바스켓 단위로 동시에, 그리고 일시에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한꺼번에 매매되므로 주식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합니다.

여기서 바스켓이라 하면, 코스피200에 포함되는 시가총액 상위 20개 정도의 대표종목의 묶음입니다. 따라서 지수의 변동성에 관련된 주식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바스켓은 시장상황에 따라 그 종목의 구성이 약간씩 변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프로그램 매매는 일반적으로, 이론가 대비 선물가격의 차가 1.0포인트를 넘으면 활발하게 나타나는데, 비차익거래는 현물이나 선물 한가지만을 매매하거나 혹은 선물과 현물을 약간의 시차를 이용해 사고 파는 것이지만, 차익거래는 선물과 현물을 동시에 사고 파는것으로 증시에 급등락을 연출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차익거래중에서 프로그램 매수라 하면 현물, 즉 주식을 기준으로 한 매수 차익거래입니다. 따라서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을 매도하게 됩니다. 다시말해, 선물의 고평가 현상에 따라서, 선물을 팔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현물주식을 사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매수에 의해 지수상승이 커지게 되고, 이는 개별종목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와 전반적인 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프로그램 매도는, 매도 차익거래로써 현물을 팔고 선물을 사게 됩니다. 즉, 현물이 고평가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하여, 현물주식을 매도하고 선물을 매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큰폭의 지수하락을 불러일으키고, 이에따라 개별종목의 하락, 전체적인 주식시장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주식시장에서 프로그램 매매가 자주발생하는 이유중 하나는 거래대금과 물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에, 기관투자가나 외국인들은 위험자산을 줄이기 위해 현물주식 거래는 축소하고, 위험성이 없는 차익거래를 선호하고 입니다.

이로인해, 약세장에서는 현물 매도차익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선물가격이 반등세로 돌아서는 것을 확인하고 주식을 사는것이 안전한 매매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이상 키움메이트였습니다.

 

 

 

 

 

 

 

 

<출처:네이버백과사전>

요약
비싼 주식은 팔고 싼 주식을 사는 차익거래.
본문

주식의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은 동일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만기 전에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주식시장에서 고평가된 것을 팔고 저평가된 것을 사는 차익거래를 말한다. 투자전략을 컴퓨터에 미리 입력한 후 시장상황에 따라 사전에 결정된 프로그램으로 일괄적으로 거래하므로 프로그램 매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자금력을 갖춘 기관투자가나 외국인 투자가들이 이용하는 거래로 우량주가 집중된 KOSPI 200 종목들이 대상이다. 주식시장에 새로운 정보가 유입되어 효율적인 가격으로 조정된다는 긍정적인 면이 있는 반면에 코스피지수를 급변하게 하여 시장을 혼란시킨다는 부정적인 면도 있다.

주가에 끼치는 영향이 크므로 규정과 제약을 두고 있는데, 공시제도와 사이드카(sidecar)가 대표적이다. 공시제도는 코스닥 50 선물에 포함된 종목을 10개 이상 또는 KOSPI 200에 포함된 종목 15개 이상을 한꺼번에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 거래소에 공시하도록 한 제도이다.

사이드카는 주식시장의 안정을 위한 규제사항으로,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코스닥은 6%)이상 급등 혹은 급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5분간 매매호가의 효력이 정지되는 것을 말한다. 만일 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며 오후 2시 20분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